브레이크 캘리퍼(Brake Caliper) - 차량을 멈춰 세우는 손
브레이크 캘리퍼는 차량을 세우려는 운전자의 의지를 전달하는 일종의 손과 같은 역할을 하는 장치입니다. 유압의 힘을 받아서 브레이크 패드를 디스크 로터에 정밀하게 압착하여 강력한 제동력을 발휘하게 하는 캘리퍼는 종류도 다양하고 또 성능도 제각기입니다. 차량의 안전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캘리퍼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목차
- 브레이크 캘리퍼
- 브레이크 캘리퍼의 기능
- 브레이크 캘리퍼의 종류
- 브레이크 캘리퍼의 고장 증상
- 브레이크 캘리퍼의 수리 비용
- 마치며
브레이크 캘리퍼
브레이크 캘리퍼는 브레이크 디스크 양쪽에 위치합니다. 유압의 힘으로 피스톤을 움직여 브레이크 패드를 디스크에 눌러서 붙도록 만들어 주는 장치이죠. 기본 구조는 피스톤, 하우징, 고정 볼트, 슬라이드 핀 등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그래서 유압식 디스크 브레이크에 필수적인 항목이죠. 차량 바퀴마다 1개씩의 캘리퍼가 존재하여 바퀴가 4개면 총 4개가 사용됩니다.
브레이크 캘리퍼의 기능
- 브레이크 패드를 움직여 디스크와 마찰을 발생시켜 차량을 감속 혹은 정지하게 함
- 제동력의 균형과 응답성에 직접적인 영향을 줌
- 고성능 차량에선 다중 피스톤 설계로 더 높은 제동성과 그로인해 더 높은 퍼포먼스를 발휘하도록 도움
브레이크 캘리퍼의 종류
작동 방식에 따른 분류
플로팅 캘리퍼 (부동식 캘리퍼, Floating / Sliding Type)
- 가장 일반적인 형태의 캘리퍼 입니다. 주로 1개 혹은 2개의 피스톤이 캘리퍼의 한쪽에만 위치합니다. 브레이크 페달을 밟으면 피스톤이 브레이크 패드를 디스크 한쪽 면으로 밀고, 반작용으로 캘리퍼 본체가 움직이면서 다른 쪽 패드도 디스크에 압착되어 제동력이 생깁니다. 그래서 플로팅 캘리퍼라고 부릅니다. 대부분의 일반 승용차, 소형 트럭 등에 사용됩니다.
- 장점 - 구조가 간단하고 비용이 저렴하며, 자체 조절 기능을 가지고 있어 패드의 마모에 따라 자동으로 간격이 조절됩니다.
- 단점 - 고성능 제동에 성능이 떨어집니다.
고정식 캘리퍼 (Fixed Caliper)
- 캘리퍼가 브레이크 어셈블리에 고정되어서 움직이지 않습니다. 캘리퍼 양쪽에 여러 개의 피스톤이 마주보는 형태로 배치되어 있어서 브레이크 페달을 밟으면 양쪽의 피스톤이 동시에 브레이크 패드를 디스크 로터에 직접적으로 밀어 제동력을 발생시킵니다. 스포츠카, 고성능 세단, 레이싱카에서 많이 사용합니다.
- 장점 - 제동력이 우수하고 응답성이 빠릅니다. 열 방출에 유리하여 고성능에 적합합니다.
- 단점 - 구조가 복잡해지고 제조 비용이 비싸며, 패드의 마모에 따라 수동으로 간격을 조절해야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전동 캘리퍼 (Electric Caliper, EPB용)
- 전기 모터로 패드를 밀어주는 구조로 파킹 브레이크 전용입니다. 자동주차나 오토홀드 등 전자식과 관련된 시스템에서 사용합니다. 최근에 대부분의 차량에서 기본적으로 사용하고 있습니다.
모노블록 캘리퍼 (고성능 전용)
- 하나의 금속 덩어리로 가공하여 만드는 캘리퍼로 뒤틀림이 최소화 되고 강성이 올라가 레이싱에서 사용하는 캘리퍼입니다. 매우 비쌉니다.
피스톤 수에 따른 분류
캘리퍼는 피스톤을 움직여 제동력을 발생시키는 장치이니 만큼 피스톤의 갯수가 성능에 아주 큰 영향을 줍니다.
- 1 피스톤 캘리퍼 - 주로 플로팅 캘리퍼에서 사용되는 가장 기본적인 형태입니다.
- 2 피스톤 캘리퍼 - 플로팅 또는 고정식 캘리퍼에서 사용하며, 1피스톤 캘리퍼보다 더 나은 제동력을 제공합니다. 플로팅의 경우 보통 같은 방향으로 2개의 피스톤이 위치하고, 고정식일 경우 양쪽에 1개씩 마주 보고 있습니다.
- 4 피스톤 캘리퍼 - 주로 고정식 캘리퍼에 사용되는 방식으로 각 측면에 2개씩 마주보는 피스톤이 있어 더욱 강력하고 균일한 제동력을 제공합니다.
- 6 피스톤 캘리퍼 - 고성능 차량에 주로 사용되는 고정식 캘리퍼로 각 측면에 3개가 있습니다. 매우 강력한 제동력을 발휘합니다.
- 그 이상 - 8 피스톤 이상의 캘리퍼도 존재합니다. 초고성능의 차량이나 아주 특수한 목적으로 사용될 때 쓰입니다.
일반적으로 피스톤 개수가 많으면 많을수록 제동력과 응답성이 향상합니다. 하지만 비용과 바퀴의 무게가 증가하기 때문에 차종에 맞는 고려가 필요합니다.
브레이크 캘리퍼의 고장 증상
- 한쪽으로 차량이 쏠림 - 피스톤 작동이 불량하면 이러한 현상이 나타납니다.
- 브레이크에서 타는 냄새가 남 - 캘리퍼의 고작으로 발생할 수 있는 증상으로 패드가 떨어지지 않아 생깁니다.
- 제동력 약화 - 피스톤이 노후되거나 슬라이딩 부가 부식되면 나타납니다.
- 소리 - 캘리퍼가 고착되거나 이물질 유입으로 인해 패드가 비정상적인 접촉을 하면 발생합니다.
- 제동 후 바퀴 과열 - 캘리퍼 고착등의 이유로 마찰이 과도하게 진행되면 바퀴가 과열됩니다.
브레이크 캘리퍼의 수리 비용
고장 증상 | 예상 원인 | 수리 방법 | 수리 비용 |
한쪽만 제동 / 차량 쏠림 | 피스톤 작동 불량 | 캘리퍼 교체 또는 오버홀 | 30만 ~ 70만 |
제동 시 타는 냄새 / 바퀴 과열 | 캘리퍼 고착 | 슬라이드 핀/피스톤 세척/교체 | 20만 ~ 50만 |
제동력 저하 | 씰링 고무 노후, 내부 누유 | 오버홀 키트 교체 | 10만 ~ 30만 |
소리 + 이물감 느낌 | 캘리퍼 장착 불량 or 마모 | 정렬, 재조립 또는 교환 | 15만 ~ 40만 |
국산 중형차 기준의 가격입니다. 차종에 따라 다를 수 있으며 또한 쓰시는 캘리퍼가 튜닝되어 고성능 캘리퍼일 경우 개당 100만 원이 넘을 수도 있습니다.
마치며
브레이크 캘리퍼는 차가 제동을 하기 위해서 바퀴를 잡아 세우는 실질적인 손과같은 역할을 하는 부품입니다. 듣기만 해도 아주 중요하겠죠. 그래서 브레이크 패드를 교체할 때 반드시 캘리퍼와 피스톤도 정상적으로 잘 작동하는지 신중하게 점검해 보는 것이 중요합니다. 일반적으로 캘리퍼는 자주 교체하고 자주 고장 나는 부품은 아니지만 그래도 10만에서 15만 km 정도 주행을 하셨으면 한번쯤은 봐달라고 하시는 것도 좋으니 기억해 두세요!
브레이크 패드(Brake pad) - 자신을 갈아 우리의 안전을
브레이크 패드(Brake pad) - 자신을 갈아 우리의 안전을브레이크 패드는 디스크와 직접적인 마찰을 일으키며 차를 세우는 부품입니다. 그러다 보니 브레이크에선 가장 중요한 부품입니다. 디스크
cha-r.tistory.com
휠 허브(Wheel Hub) - 바퀴를 구성 하는 핵심 부품
휠 허브(Wheel Hub) - 바퀴를 구성 하는 핵심 부품휠 허브는 자동차 바퀴를 구성하는 부품입니다. 차량의 안전성과 직결되는 구조물이죠. 바퀴가 매끄럽게 회전하고, 제동력과 구동력이 정확
cha-r.tistor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