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Cha-Ran~

기술과 예술의 융합 - 에토레 부가티(Ettore Bugatti)

by 차R 2025. 2. 27.
728x90
반응형

기술과 예술의 융합 - 에토레 부가티 (Ettore Bugatti)

기술적으로만 발전해오던 자동차를 단순한 기계가 아닌 예술을 접목시켜 한 단계 레벨업을 시킨 사람이 있습니다. 그리고 오늘날까지 파가니, 코닉세그와 같이 현존하는 판매 차량 중 최고가를 자랑하며, 자동차 예술로 남아있는 브랜드, 바로 부가티입니다. 그리고 그 회사의 창시자, 에토레 부가티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합니다.

 

목차

  • 자동차 천재 부가티
  • 부가티 경영 전략
  • 레이싱에서의 성공
  • 타입 35
  • 부가티의 몰락
  • 부가티 전설은 사라지지 않는다
  • 정신은 이어진다

 

자동차 천재 부가티

에토레 부가티[에토레 아르코 이시도로 부가티(Ettore Arco Isidoro Bugatti)이후, 부가티로만 부를게요.]1881915일 이탈리아 밀라노에서 태어났습니다. 이전에 보았던 주인공들이 공학과 무언가 연관이 있었던 집에서 태어난 케이스가 많았지만 부가티는 달랐죠. 부가티 집안은 완전한 예술가 집안이었습니다. 아버지는 가구 디자이너였고, 삼촌은 화가, 동생은 조각가, 고모의 남편 또한 화가였죠. 이렇다 보니 예술적인 감각이 자연스레 쌓이게 됩니다.

하지만 부가티는 기계 쪽에 천부적인 재능이 있었습니다. 17살에 부가티 타입 1을 개발해냈으니까요. 이후 Guulinelli 백작의 지원으로 타입 2까지 개발하게 됩니다.

에토레 부가티

 

부가티의 경영 전략

1909년 부가티는 당시 독일이였던 알자스 지방에 부가티 자동차 회사(Automobiles Ettore Bugatti)를 설립합니다. 부가티는 창시부터 일반적인 자동차 회사와는 아예 다른 길을 걸었죠. 당시 자동차들이 대량생산을 목표로 삼고 자동차를 대중화하는 데 힘썼다면, 부가티는 차를 예술로 승화시켜서 팔고자 했습니다. 그래서 수작업을 통해서 최고급 자동차만 제작했으며, 가볍고 우아한 디자인에 최상의 성능을 가진 자동차만을 만들었죠. 그는 독창적인 설계를 통해서 다른 자동차와 완전한 차별화를 만들었습니다. 특히 엔진과 차체의 경량화에 힘썼고, 곡선미를 강조한 디자인을 선보였죠.

그러다 보니 고객관리도 특이했는데 한 일화로 추운 날 시동 걸기가 어렵다고 불평하는 부가티 고객에게 타입 35를 살 여유가 있다면 차고쯤은 살 여유가 있지 않냐고 반문했다고 하죠.

 

레이싱에서의 성공

부가티 역시 자동차 경주에서 성능을 입증하는 것이 브랜드 가치를 높이는 길이라고 생각했습니다. 지금이랑 크게 다르지 않죠. 그래서 1920년대부터 수많은 레이싱 대회에서 우승을 하며 명성을 쌓아올립니다. 1924년 타입 35로는 1000회 이상의 우승을 달성했고, 1926년 모나코 그랑프리 우승 등 수많은 수상경력을 통해 기술을 입증해냅니다.

특히 타입 35는 동시대의 어떤 차보다 뛰어난 성능을 자랑했는데, 이것은 경량화된 차체와 강력한 엔진이 만들어낸 시너지였습니다. 부가티는 레이싱에서 얻은 기술을 일반 상용화된 자동차에도 적용시키면서 많은 고객을 유치 할 수 있었습니다.

 

타입 35

부가티 역사에서 결코 빼놓을 수 없는 차량이 타입 35입니다. 역사상 가장 성공적인 레이싱 카라는 별칭이 붙어있을 정도이죠. 타입 35는 당시 자동차들과는 다르게 가볍고 경쾌한 움직임을 보였습니다. 직렬 8기통에 90마력, 최고속도 190km를 자랑했죠. 후기형은 이보다 성능이 더욱 뛰어나 졌습니다. 체도 경량화해서 750kg 밖에 나가지 않았죠. 그러다 보니 각종 레이싱 대회를 휩쓸었습니다. 총 우승 기록이 2000회가 넘죠.

덕분에 아직도 타입 35는 여전히 명품 클래식카로 자리 잡고 있습니다. 2020년 경매에서 50억 원 이상의 가격에 낙찰되기도 했으니까요.

타입 35
파일명: https://commons.wikimedia.org/wiki/File:Bugatti_35,_Bj_1924,_M_Nicolosi_-_1976.jpg 원본 이미지 출처: Wikimedia Commons, "Bugatti Type 35" (CC BY-SA 2.0 Germany) 저작자: Lothar Spurzem 편집 및 수정: 차알 출처: [https://commons.wikimedia.org/wiki/File:Bugatti_35,_Bj_1924,_M_Nicolosi_-_1976.jpg]

 

부가티의 몰락

하지만 1930년대 후반부터 부가티의 상황은 어려워지기 시작했습니다. 그리고 전쟁은 모든 것을 앗아갑니다. 부가티도 예외일 수 없죠. 2차 대전이 발발하면서 공장이 파괴되었고, 부지에 대한 권한조차 잃어버리고 말았죠. 전쟁 후에도 부가티는 다시 제기하기 힘들었습니다. 부가티의 공장은 대부분 프랑스 쪽에 있었는데 전쟁 후 이탈리아 출신인 부가티가 프랑스에서 받는 취급은 불 보듯 뻔했죠. 그래서 파리에 있는 자신의 아파트에 몇 달 동안 갇혀 있기도 했습니다. 결국, 부가티는 병을 앓다가 세상을 떠나게 됩니다.

 

부가티 - 전설은 사라지지 않는다

하지만 전설은 사라지지 않습니다. 1998년 부가티는 폭스바겐 그룹(VW)이 인수하게 되면서 폭스바겐 그룹에 의해 부가티는 부활하게 됩니다. 그리고 2005년 역사상 가장 강력한 슈퍼카 중 하나라고 불리던 [부가티 베이론(Bugatti Veyron)]을 탄생시키죠. 베이런은 최고출력이 1001마력이었고, 최고속도는 407km를 자랑한 그야말로 무시무시한 자동차였습니다. 타이어 소모가 극심해 안전을 위해 최고속도로 주행 시 일부러 연료를 먼저 다 소모하게 할 정도의 자동차였죠.

이후 부가티는 2021년 전기 하이퍼카 제조 업체인 리막(Rimac Automobili)에게 넘어가 Bugatti Rimac이라는 이름으로 유지되고 있습니다.

부가티 베이론

 

정신은 이어진다

부가티는 단순한 자동차 제작자를 넘어서 예술과 기술의 융합을 보여준 사람이었습니다. 그의 철학인 오늘날까지 이어져서, 부가티는 곡선형의 아름다움을 유지하면서도 최강의 성능을 자랑하는 최고의 차량 브랜드로 남아있죠. 사라질 뻔한 부가티의 이름을 후대의 자동차 회사들이 되살리고 그의 가치를 이어가고 있습니다.

위키피디아의 사진을 이용했습니다.

 

 

월터 P. 크라이슬러(Walter P. Chrysler) - 미국 자동차의 거장

월터 P. 크라이슬러(Walter P. Chrysler) - 미국 자동차의 거장 월터 P. 크라이슬러(Walter P. Chrysler)는 미국 자동차업계에서 상당히 중추적인 인물입니다. 자동차의 실용성과 혁신성을 끌어올린 인물

cha-r.tistory.com

 

 

고트리프 다임러(Gottlieb Daimler) & 빌헬름 마이바흐(Wilhelm Maybach)

고트리프 다임러 (Gottlieb Daimler) & 빌헬름 마이바흐 (Wilhelm Maybach) 한쪽에 최초의 인정받은 자동차를 만든 카를 벤츠가 있었다면, 다른 한쪽엔 다임러와 마이바흐가 있었습니다. 벤츠, 다

cha-r.tistory.com

 

 

카를 벤츠(Karl Benz) - 인정받은 최초의 자동차

카를 벤츠 (Karl Benz) - 인정받은 최초의 자동차 카를 벤츠(1844~1929), 네 맞습니다 그 유명한 벤츠 입니다. 해외 유명 자동차 브랜드 이름은 대부분 창업자, 사람의 이름을 따온 경우가 대부

cha-r.tistory.com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