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PF(Paint Protection Film) - PPF 종류와 가격 알아보기
차량은 고가의 물건입니다. 또 항상 밖에 있는 물건이다 보니 비바람이나 모래, 먼지 등에 의해서 외부가 손상되기 쉽죠. 그래서 스마트폰의 액정보호필름처럼 차에도 붙이는 필름이 있습니다. 그것이 바로 PPF죠. 하지만 이게 말이 많습니다. 워낙 고가의 시공이다 보니 믿지 못하는 곳들도 꽤 있었죠. 이번 글에선 PPF에 대해서 무엇인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목차
- PPF의 종류
- PPF 필름의 가격
- PPF의 시공비용
- PPF 시공 시 주의사항 및 알아둘 점
- 마치며
PPF의 종류
소재에 따른 분류
TPU (Thermoplastic Polyurethane)
TPU 열가소성 폴리우레탄은 탄성과 인장강도가 좋아 외부 충격에 강하며, 스크래치에 대한 자가 복원력이 우수합니다. 황변 현상이 적고, 오랜 기간 투명도를 유지하죠. 시공성도 용의하고 고광택이나 무광 등 다양한 질감으로 출시됩니다. 내화학성도 뛰어난 편이어서 오염물질로부터 효과적인 보호를 하죠. TPU 내에서도 제조사별로 기술력에 따라서 내구도나 자가 복원력이 전부 다릅니다. 그래서 제조사별로 가격과 특징을 잘 비교해 보고 결정해야 합니다.
TPH (Thermoplastic Polyolefin Hybrid)
TPH 열가소성 폴리올레핀은 하이브리드 소재입니다. TPU와 PVC의 유익한 특성을 결합하여서 비용과 성능이 딱 그 중간 정도에 위치하고 있죠. 자가복원기능은 없는 경우가 많고, TPU에 비해서 내구성이 낮고 황변 현상이 좀 더 발생할 수 있습니다. 경제적인 가격으로 시공을 하고자 할 때 사용할 수 있죠.
PVC (Polyvinyl Chloride)
PVC 폴리염화비닐은 가장 저렴한 PPF 소재입니다. 과거에 많이 사용되었지만, 지금은 잘 사용하지 않습니다. 왜냐하면, 황변 현상이 쉽게 오기 때문이죠. 게다가 수축과 균열도 발생하기 쉬워서 장기적인 보호에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기능에 따른 분류
Gloss (유광)
대부분의 PPF 필름은 유광으로 나옵니다. 시공 후에도 차량의 본래 색과 광택을 그대로 유지시켜주는 역할을 합니다.
Matte (무광)
무광은 차량의 전체적인 스타일을 바꾸는데요. 그래서 전체시공으로 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무광으로 시공하게 되면 차량에 독특한 스타일을 연출 할 수 있죠. 유광 필름과 기본적인 기능은 동일하지만 일부 무광 PPF는 지문 방지 기능도 추가되기도 합니다.
Colored (색상)
말 그대로 색상이 들어간 필름입니다. 다양한 색상이 추가되어있어서 선택지가 넓어졌죠. 차량의 색상을 도색 없이 변경할 수 있으면서 보호 기능을 얻을 수 있죠. 주로 랩핑의 용도로 사용됩니다.
Self-Healing (자가 복원)
요즘 PPF는 자가 복원 기술이 있어서 잔 스크래치 정도는 스스로 회복하는 기능을 갖추고 있습니다. 이 필름은 표면층에 열을 가하면 손상된 부분의 분자구조가 재배열되면서 원래의 평평했던 상태로 돌아가는 원리를 가지고 있죠. 이러한 방식으로 잔 스크래치를 스스로 복원하여 오랫동안 원래의 형태를 유지하죠. 주로 TPU 소재의 고급형 필름에 이 기술이 적용되어 있습니다.
Instant Healing (즉시 복원)
최신의 기술로 가벼운 스크래치는 열을 가하지 않아도 즉시 회복되는 기능이 있습니다. 덕분에 스크레치 저항성이 매우 높아서 고가의 차량들에게 시공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만큼 비용도 꽤 높죠.
PPF 필름의 가격
PPF 필름은 가격이 브랜드와 기능에 따라 천차만별입니다. 그래서 소비자가 쉽게 파악하기 어려울뿐더러 가격에 대한 걸 상담에 맡겨야 하는 경우가 많았죠. 그래도 최근에는 가격정보가 많이 공개되어서 예전보다는 접근성이 좋아진 편입니다.
그래도 여전히 디테일한 가격을 다 알긴 힘들지만, 대략적인 가격을 말씀드려보려고 합니다.
원단의 가격
- 일반적인 TPU 유광 필름: m당 5만원 ~ 15만원
- 자가 복원 기능 TPU 유광 필름: m당 10만원 ~ 25만원
- 무광 PPF 필름: m당 15만원 ~ 30만원
- 최고급 즉시 복원 기능 PPF 필름: m당 30만원 이상
총 시공 가격
위의 원단의 가격에 시공, 재단, 검수 등을 해서 총 비용이 나오게 되는데요
- 경차 (모닝, 스파크 등): 약 250만원 ~ 400만원
- 준중형 세단 (아반떼, K3 등): 약 300만원 ~ 500만원
- 중형 세단 (쏘나타, K5 등): 약 350만원 ~ 600만원
- 대형 세단 (그랜저, K8 등): 약 400만원 ~ 700만원
- 소형 SUV (셀토스, 코나 등): 약 350만원 ~ 600만원
- 중형 SUV (싼타페, 쏘렌토 등): 약 400만원 ~ 700만원
- 대형 SUV (팰리세이드, 모하비 등): 약 450만원 ~ 800만원
- 수입차: 국산차 대비 10% ~ 30% 이상 높은 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PPF는 부분시공도 가능
- 생활 보호 패키지 (도어 엣지, 도어컵, 트렁크 리드, 주유구): 약 15만원 ~ 30만원
- 앞 범퍼: 약 40만원 ~ 80만원
- 본넷: 약 50만원 ~ 100만원
- 앞 휀더 (개당): 약 30만원 ~ 60만원
- 사이드 미러 (좌우): 약 10만원 ~ 20만원
- 헤드라이트 (좌우): 약 10만원 ~ 30만원
다만 지금까지 말씀드린건 완전히 참고용이며, 더 좋은 필름을 선택하던가, 각 업체별로 완전히 다를 수 있습니다. 때문에 PPF는 대략적 가격만 아시고 각 시공업체와 상담을 통해 가격을 결정하는 것이 좋습니다.
가격을 좀 더 명확하게 보시기 좋게 루마 PPF 링크를 첨부해 드립니다.
다른 시공업체의 가격은 각각 다 다릅니다. 단순 참고용으로 사용하세요
PPF 시공 시와 시공 후 주의사항
PPF는 필름을 사서 혼자 할 수도 있겠지만 사실상 DIY가 거의 불가능합니다. 웬만한 경험이 있지 않는 한 쉽지가 않죠. 또한, 신경 써야 할 것도 매우 많으므로 시공업체에서 정식적으로 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시공 시 주의사항
- 청결도와 온습도 - PPF를 시공하기 위해선 이러한 조건을 갖춘 장소가 필요합니다. 너무 춥거나 더운 환경에서도 필름의 접착성에 영향을 주기 때문이죠.
- 조명 - 충분히 밝은 곳에서 시공해야 꼼꼼한 확인이 가능하죠. 개인은 이러한 곳들을 충분히 갖추기 어렵기 때문에 DIY는 사실상 힘듭니다.
- 필름의 종류와 특징이해 - 필름의 종류와 특징을 알고 필름을 고르시는 것이 중요합니다. 자가복원기능은 있는지 본인의 예산은 어느 정도인지에 따라서 결정하는 것이 좋습니다.
- 필름의 보증내용 확인 - 필름을 고르실 때도, 필름의 보증내용을 확인하시어 황변이나 들뜸에 대한 문제가 발생했을 때 AS를 받는것이 좋겠죠.
- 전문 기술력을 가진 시공업체 선정 - 사실상 PPF를 시공할 때 가장 중요한 주의사항입니다. 업체만 잘 선정해도 앞선 모든 것들을 내가 고민할 것 없이 해결해줍니다. 시공 후기를 확인하시고, 제일 좋은 방법은 업체에 가셔서 작업하고 있는 차량이 있다면 한번 눈으로 보시는 것도 좋습니다.
- 정밀 재단 시스템 - PPF 시공에서 가장 중요한 것 중 하나가 재단인데요. 차량에 맞게 필름이 재단이 완벽해야 되어야 시공 결과물도 완벽하게 나올 수 있죠. 따라서 하고자 하는 시공업체의 재단 시스템을 확인하는 것도 좋은 업체를 고를 수 있는 기준이 될 수 있습니다.
- 확인 - 마지막으로 시공업체에서 시공 후 관리나, AS 제도가 어떻게 되어있는지 확인하시는 것이 추후 발생할 문제에 대비하기 좋습니다. 그리고 시공 시에 시공 과정에 참관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 될 수 있습니다. 그리고 시공이 끝나면 반드시 기포나 들뜸, 먼지 유입이 없는지 확인하셔야 합니다. 특히 굴곡진 부분에 마감 처리를 잘 보셔야 하죠.
시공 후 주의사항
- PPF를 시공한 이후에는 그래도 어느 정도 관리를 해주셔야 좋은데요.
- 시공 후 24~48 정도는 필름이 완전히 자리 잡도록 차량 운행을 적게 하는 게 좋습니다.
- 최소 일주일 정도는 자동세차를 피하고 오염이 있다면 부드러운 천으로만 닦아 주는 것이 좋습니다.
- PPF 전용 관리 제품을 사용하셔서 필름의 변색이나 손상을 방지해 주는 것이 좋습니다.
- 벌레나 기름 등의 이물질이 묻었을 경우엔 최대한 빨리 천으로 닦아주시는 것이 좋습니다. 오래 방치하면 필름안에 색이 스며들 수 있죠.
마치며
차량을 새로 사면 참 소중합니다. 핸드폰을 새로 사도 케이스도 끼우고 필름도 붙이고 하는데 그보다 몇십 배, 혹은 백배도 비싼 차량을 사면 더욱 그렇겠죠. 그러다 보니 PPF는 차량을 보호하는 데 있어서 좋은 선택이 될 수 있을 겁니다. 하지만 PPF가 시공비가 워낙 고가이다 보니 신중한 선택을 해야만 하죠. PPF 시공을 염두에 두고 있는 분들이라면 신중하게 많이 알아보시고 좋은 선택을 하셨으면 좋겠습니다.